프로젝트

길 고양이 TNR에 대한 정보와 개인적 견해

parkhesse7 2025. 5. 18. 04:01

 

출처: image: Flaticon.com

1. TNR의 정의

TNR Trap(포획)-Neuter(중성화)-Return(방사)의 약자로, 길고양이 관리 시스템을 말합니다.

말 그대로 안전하게 포획해서, 수술을 통해 번식을 불가능하게 하고, 원래의 삶의 터전으로 돌려보내는 것입니다.

 

초등학생 때 길에 있는 고양이 귀가 잘려있는 것을 보고, 인터넷으로 찾아봤던 기억이 나네요

 

그럼 이 TNR 이란 것은 왜 필요할까요?

 

2. TNR의 필요성

고양이는 번식력이 매우 높아서, 1년에 20마리 이상을 낳을 수 있다고 합니다.

그래서 TNR을 하지 않으면, 개체 수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한다고 합니다.

 

그리고 중성화된 고양이는 발정 소리를 내지 않고, 영역 싸움이 줄어들어 소음과 분뇨 문제도 완화된다고 합니다.

 

이것도 귀가 왜 잘려있는지 찾아본 것과 마찬가지로, 초등학생 때 새벽에 밖에서 아기 울음소리가 계속 들려서 엄마한테 물어보니,

고양이가 우는소리라고 했던 기억이 납니다. 그런 소음을 줄여주는 것에도 목적이 있습니다.

 

그리고 수술을 하는 과정에서 수의사가 고양이의 상태 검진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을 것 같습니다.

 

3. 그렇다면 TNR은 누가 어떻게 할까?

 

지자체와 동물보호 단체: 대부분의 지역에서는 보호단체나 지자체가 주기적으로 TNR을 시행한다고 합니다.

 

출처: 서울시 동물복지 지원센터 홈페이지

시민참여:  캣맘, 봉사자들이 길고양이의 포획을 도와주는 시스템이 있습니다.

https://animal.seoul.go.kr

 

그리고 수술이 끝난 고양이는 한쪽 귀 끝을 잘라 표시합니다. 이를 귀를 커팅 한다고 주로 표현해서 커팅 귀라는 용어를 자주 본 것 같습니다.

 

정리를 하면, TNR은 포획-중성화-방사를 하는 시스템이다. TNR은 여러 가지 이유로 필요성을 느껴서 지자체에서 시행 중이다.
TNR의 방법은 고양이의 귀 한쪽 끝을 자르는 것이다 정도인 것 같습니다.

 

길 고양이의 귀가 많이 잘려있는 친구들도 종종 봐서, 개인적으로는 마음이 안 좋았던 경험도 있습니다. 개체에 따라 귀가 곪는 경우도 있다고 하네요. 물론 아직까지는 많은 전문가들이 판단한 최선의 선택이겠지만, 앞으로 다른 방안이 나오기를 바라며 저도 구상을 한 번 해보아야겠습니다.

 

출처: 서울시 동물복지 지원센터

https://animal.seoul.go.kr

 

농림축산검역본부 - 동물보호관리시스템

https://www.animal.go.kr

'프로젝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길 고양이 TNR과 비교한 TNVR과 현재 시행 현황  (1) 2025.05.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