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젝트

길 고양이 TNR과 비교한 TNVR과 현재 시행 현황

parkhesse7 2025. 5. 18. 04:16

 

저번 시간에는 TNR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요,

https://parkhesse7.tistory.com/9

 

길 고양이 TNR에 대한 정보와 개인적 견해

1. TNR의 정의TNR Trap(포획)-Neuter(중성화)-Return(방사)의 약자로, 길고양이 관리 시스템을 말합니다.말 그대로 안전하게 포획해서, 수술을 통해 번식을 불가능하게 하고, 원래의 삶의 터전으로 돌려

hesse.co.kr

 

1. TNVR 이란?

TNVR은 Trap(포획)-Neuter(중성화)-Vaccinate(백신 접종)-Return(방사)

으로, TNR에 Vaccinate(백신 접종) 단계가 추가된 방식입니다.

 

TNR 이란 용어는 자주 들어봤지만, TNVR 이란 단어는 생소해서 우리나라에서 시행 현황이 궁금해서 찾아보게 되었습니다.

 

 

2. 해외의 TNVR 운영 사례

미국

대형동물보호단체 The Humane Society, Alley cat Allies와 같은 단체는 TNVR을 표준 프로토콜로 채택했다고 합니다.

광견병 백신 접종이 법적 의무인 경우가 많아서, TNVR이 현실적인 대안으로 자리 잡았다고 합니다.

일부 주(캘리포니아, 뉴욕)에서는 지자체 차원에서 TNVR을 제도화해서 예산까지 지원해 주고 있다는 정보를 보았습니다. 

 

호주

광견병이 없는 국가지만, 톡소플라스마증과 같은 기생충 질병 문제로 백신 접종 포함한 TNVR이 확산 중이라고 합니다.

일부 주에서는 야생 고양이에 대한 포획 후 안락사 정책과 함께, 도시 지역에서는 TNVR 허용 및 권장이라고 합니다.

안락사 정책까지 시행되고 있다고 하니 찾아보면서 충격이었습니다. 약 1,400만에서 5,600만 마리의 야생 고양이가 서식해서 생태계에 큰 위협이 되고 있다는 정보도 보았는데, 어쩔 수 없다는 판단을 내린 것 같습니다.

 

이외에도 영국과 대만에서도 TNVR을 시행하고 있는데, 대만에서는 2017년 이후로 유기 동물 안락사 금지법이 시행됐다는 특이점이 있었습니다.

 

3. 한국의 TNVR 운영 현황

한국에서는 예산과 전문 인력의 부족으로 인해 TNVR 프로그램 확대에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고양이들이 안타깝다는 시선도 있지만, 그에 못지않게 길고양이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가진 사람들도 많기 때문에 아직 확대가 어려울 것으로 보입니다.

 

정리를 하면, TNVR은 TNR에 백신 접종이 추가된 것이고, 해외에서는 TNVR 사례가 많지만, 한국에서는 현실적인 문제로 인해 아직 시행을 못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여러분들은 길 고양이 TNR에 대해 어떤 시선을 가지고 있는지도 궁금합니다.

아무래도 윤리, 환경과 관련된 문제이다 보니 정답은 없는 것 같습니다

이렇게 정보를 한 번 모아봤는데 의견 자유롭게 달아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프로젝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길 고양이 TNR에 대한 정보와 개인적 견해  (0) 2025.05.18